사업영역

바이오에너지

바이오디젤

대기질 향상에 기여하는 친환경 수송연료

개요

바이오디젤은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연료로, 석유 기반의 일반 경유와 달리 폐식용유, 음폐유(Food Waste)와 같은 폐자원 및 동식물성 유지 등을 합성하여 만들어집니다. 국내 바이오디젤은 초기 시범보급 이후 2006년부터 차량용 경유에 0.5% 혼합되기 시작하였으며, ‘신재생에너지 연료 혼합의무제도(RFS)’를 기반으로 혼합비율이 상향되고 있습니다.

해당연도 2006~2007 2008 2009 2010~2015 2015~2017 2018~2021 2021~2023 2024~2026 2027~2029 2030
혼합비율 0.5% 1.0% 1.5% 2.0% 2.5% 3.0% 3.5% 4.0% 4.5% 5.0%

DS단석은 2007년부터 국내 정유사의 품질 규격에 부합하는 바이오디젤을 제조 및 공급하여 왔습니다. 또한 미국 환경보호청(EPA), 캘리포니아 및 오리건주의 저탄소연료 혼합의무제도(LCFS, CFP) 등록, EU ISCC 인증 등을 기반으로 바이오디젤 수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징

온실가스 저감 및 황산화물 미발생 /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등 유해 배기가스 감소 / 생분해성 보유

경유와 유사한 연료 성능으로 디젤엔진과의 호환성이 우수한 석유대체연료

용도

경유 자동차, 건설 중장비 연료

바이오중유

화석연료 발전의 대안이 되는 재생에너지

개요

바이오중유는 바이오디젤의 공정 부산물, 저급 유지 및 산업 부산물 등을 원료로 만들어지는 친환경 에너지원입니다. 2012년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제도(RPS)’ 시행에 따라 500MW 이상의 발전 설비를 보유한 발전사업자는 총 발전량의 일정 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 전력으로 공급해야 합니다. (‘25년 기준 14.0%)

이에 DS단석의 바이오중유는 발전사 의무공급량 이행을 목적으로 중유(B-C유)를 대체하여 한국중부발전, 한국남부발전 등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특징

B-C유 발전설비와 호환성 보유

B-C유 대비 미세먼지 28%, 질소산화물 39%, 온실가스 85%, 황산화물 100% 저감효과

용도

화력 및 산업용 발전설비

산업용 보일러

바이오선박유

초저유황 친환경 선박연료

개요

바이오선박유는 기존 B-C유 기반의 선박에 완전히 대체가능한 친환경 연료로, DS단석은 저급 유지와 산업 부산물 등을 원료로 바이오선박유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제해사기구의 'IMO 2020' 시행으로 선박유의 황 함량 규제가 강화되고 해운 분야의 탄소 감축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바이오선박유가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DS단석은 자체적인 바이오선박유 기술개발을 바탕으로, 정유사 및 선사와 함께 품질규격 등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2022년 6월 국내 최초로 바이오중유 기반의 바이오선박유를 수출함으로써 글로벌 표준을 제시하였고, 선박유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습니다.

특징

선박연료 국제 표준규격(ISO 8217)에 부합하는 독자적인 바이오선박유 및 초저유황 연료(VLSFO)와 혼합되어 사용되는 EN 14124 규격의 선박용 바이오디젤 등 다양한 유형의 바이오선박유 공급 가능

선박연료로 사용 시 기존 B-C유 대비 온실가스 저감효과

용도

선박용 연료

HVO 전처리 원료

지속가능항공유(SAF) 생산 기반

개요

수소화 식물성 오일(Hydrotreated Vegetable Oil, HVO)은 식물성 유지 등을 전처리 및 수소처리 후 제조되는 바이오연료로, 저온 유동성이 우수하다는 특성을 보유하여 지속가능항공유(Sustainable Aviation Fuel, SAF)와 같은 차세대 연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DS단석은 2024년 평택1공장에 HVO 전처리 공정(Pre-Treatment Unit, PTU)을 준공하고, 폐식용유 등을 활용한 HVO 전처리 원료 생산을 개시하였습니다. 본 PTU는 글로벌 라이선스 기반으로 설계하여 고품질 원료 생산을 보장합니다.

DS단석은 HVO 전처리 원료의 공급과 함께 SAF 생산거점(Net-Zero Complex)을 단계적으로 구축해 나갈 계획입니다.

특징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고형불순물, 금속분, 무기염소, 질소, 황 등을 극소량으로 저감

용도

지속가능항공유, 재생디젤 원료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