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영역

플라스틱 리사이클

PVC 복합 안정제

고객 맞춤형 범용 플라스틱 핵심 소재

개요

PVC 복합 안정제는 PVC 성형 시 Chlorine의 분해를 억제하고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PVC 성형품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고객맞춤형 첨가제입니다.

DS단석은 1984년 납계 안정제를 개발한 후, 선행적 연구개발을 통해 무독성 안정제 제품을 앞서 출시하여 시장을 리드하고 있으며, PVC 복합 안정제는 샤시 등의 PVC 가공 업체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특징

고객의 가공특성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첨가제

PVC 열 가공(압출, 사출)시 물리화학적 변형 방지 및 가공성 향상

성형품의 산화 및 열화를 방지하여 내후성 향상

용도

Window Profiles / Wire & Cable / Pipes & Fittings / Tile & Hose

금속 비누계 원료

고객 맞춤형 범용 플라스틱 핵심 소재

개요

금속 비누계 원료는 PVC 복합 안정제의 중요한 원료로써 PVC 연화성과 이형성 등의 활제 기능을 하는 첨가제입니다. 또한 DS단석의 금속 비누계 원료는 국내외 플라스틱 몰딩 산업 분야와 폴리올레핀 중화제 시장 등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특징 및 용도
Ca-St
스테아린산칼슘
Zn-St
스테아린산아연
Ba-St
스테아린산바륨
무독성 및 활성이 우수하여 안정제, 이형제, 활제, 중화제로 사용 무독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여 PVC 열안정제, PS/ABS의 활제, 안료분산제, 이형제, 윤활유, 화장품 등 사용 활성과 겔화성, 내열성이 우수하여 압출가공, 사출성형, Calendaring 가공 등 사용

PVC 단일 안정제 (납계)

고객 맞춤형 범용 플라스틱 핵심 소재

개요

DS단석은 PVC 안정제 제품의 수직계열화를 통한 사업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PVC 단일 안정제는 해외 시장 수출과 더불어 PVC 복합 안정제의 핵심 원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징 및 용도
TLS
3염기성황산연
DLP
2염기성아인산연
DBL
2염기성스테아린산연
Pb-St
스테아린산연

강력한 산포착제로 열안정성, 전기절연성 등 우수

전선피복, 파이프 등

뛰어난 열안정성, 고운 순백색을 내개하며 자외선 합스로 내후성 등 우수

옥외창틀 등

활성, 내열성, 내수성 등 우수

경질 압출, 사출성형에 주로 사용

안정제 겸 활제로 사용

경질, 연질 등 다양한 용도 사용

Hydrotalcite

복합 기능성 무독 소재의 기술 혁신

개요

Hydrotalcite는 층상 이중 수산화물(LDH)로 수산화마그네슘과 수산화알루미늄으로 구성된 판상층 사이에 카보네이트 이온(CO3-2)과 결정수를 포함하는 구조입니다. 마그네슘, 알루미늄, 수산화물, 탄산으로 이루어져 독성이 없고 친환경적이며, 다양한 종류의 수지에 다른 첨가제와 함께 사용하여 물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특징 및 용도
용도 특징
무독 PVC 열안정제 중금속이 없는 친환경 물질로 PVC 수지내 기타 첨가제와 함께 첨가되어 높은 열안정성 부여
Ziegler-Natta 촉매 중화제 Ployolefin(PE/PP)계 중합 후에 남아있는 촉매 잔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수지의 분해를 방지
항 염소제 Polyurethane계 특히, spandex의 중합에 사용 되어, 물성 유지와 높은 항염소 능력을 부여
난연제 수산화 무기 화합물로 구성된 물질로 각종 수지에 높은 난연효과를 부여
기타 첨가제 각종 할로겐 물질의 포획 및 제산제 등으로 사용

PCR 플라스틱

친환경 재생 플라스틱 소재

개요

PCR(Post-Consumer Recycled) 플라스틱은 사용 후 버려진 플라스틱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선별 및 분리하여 재활용하는 플라스틱입니다. 최근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어 글로벌 PCR 플라스틱 시장 규모가 급격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DS단석은 자회사인 DS PCR과 연계하여 플라스틱 리사이클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PCR 플라스틱 Compound 제품(PP, ABS 등)을 공급하며 자원순환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특징

여러가지 재질이 혼합된 폐플라스틱을 순도 99% 이상으로 선별, 분리시키는 자동화 선별 시스템 및 물리적 재활용 기술 보유

PCR 플라스틱 기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및 범용 플라스틱 Compound 기술 보유

용도

자동차 부품

가전제품

생활용품